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스키]위스키 즐기기 4가지 과정(시각, 향, 맛, 그리고 여운)

by 소주와칵테일 2024. 3. 3.

나이가 점차 들면서 자연스럽게 위스키를 마시는 기회가 늘어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위스키를 마실 때면 비싸고 좋은 술이라는 것은 알지만 그저 독하다는 생각에 빨리 털어버리는 것이 아쉬워 위스키를 즐기는 4가지 과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위스키를 즐기는 4가지 과정은 시각, , 맛 그리고 여운입니다. 위스키를 잔에 따른 후 위스키의 색감과 점성을 눈으로 본 다음 위스키의 향을 천천히 느끼고 한 모음 들이켜 위스키의 맛을 음미해 봅니다.마지막으로 입안에서 충분히 맛을 즐긴 뒤 삼키면 목에서부터 입까지 남아있는 위스키의 잔향을 느껴봅니다. 이렇게 남아있는 잔향을 여운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각 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위스키 테이스팅 관련 이미지
위스키 테이스팅 사진

 

첫 번째 시각

 

시각은 위스키를 즐기는 첫 번째 단계로 위스키의 색에 대해 보는 것입니다. 위스키는 오크통에서 숙성되면서 색이 입혀집니다. 흔히 호박색이라 불리는 위스키 색은 어두운 바에서 밝은 조명을 받아 더욱 아름답게 빛납니다. 물론, 위스키마다 색이 다르다면 소비자로부터 품질에 대한 신뢰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캐러멜 색소를 통해 인공적으로 위스키의 색을 만드는 제조사도 많이 있습니다. 블렌디드 위스키의 경우 상당수가 캐러멜 색소를 통해 색을 만들고 있어 이러한 위스키에서 색은 크게 중요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위스키들도 아직 많기 때문에 색을 보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위스키의 색은 금빛, 호박색, 갈색, 자주빛 등 다양하며 테이스팅 노트를 작성할 때 아래 표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 기재해 봅니다.

 

위스키 색상표
위스키 색상표

 

 

두 번째 위스키의 향

위스키를 마시는 두 번째 과정은 향을 맡는 것입니다.위스키의 색을 본 후 에는 천천히 스월링 하여 닫혀있던 위스키의 향들이 더욱 잘 전해지기를 기다렸다가 시음하면 좋습니다. 잔에 따라진 위스키의 향을 그대로 맡는 방법도 있지만 지난번 한남동의 위스키바를 방문하니 지거에 조금 남아 있는 위스키를 손등에 뿌린 후 알코올이 날아가기를 기다린 다음 향을 맡으니 위스키 숙성 통의 향을 더욱 잘 느낄 수 있었습니다. 위스키의 향 맡기는 위스키의 풍미를 알아보는 가장 중요한 단계로 위스키 안에 들어 있는 다양한 향들을 감상하고 생산 지역과 과정 숙성 통 등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위스키의 향은 아로마 휠이라는 체계적인 향 분석표가 있으며, 해당 분석표에서 각 향을 표현하는 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위스키의 향을 맡으며 아래 정리된 향의 종류 중 몇 가지나 느껴지는지 확인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과일향
    1)
감귤류 과일 : 라임, 레몬, 자몽, , 오렌지껍질
    2)
열대 과일 : 구아바, 멜론, 망고, 바나나, 파인애플, 패션프룻
    3)
이과 배 과일 : , 풋사과, 사과
    4)
들 과일 : 복숭아, 체리, 자두
    5)
붉은 열매 : 나무 딸기, 블랙 커런트, 블랙베리
    6)
말린 과일 : 건자두, 말린 무화과, 건살구

2. : 오렌지 꽃, 장미, 히스, 제라늄, 라벤더, 제비꽃

3. : 갓 깎은 잔디, 양치류, 민트, 유칼립투스, 향나무, 블랙 커런트 잎, 월계수

4. 곡물 : 건초, 감자, 맥아, 쿠키, 옥수수
    1)
로스티드 : 토스트, 초콜릿, 커피, 감초
    2)
효모 : 미트소스, 소시지,

5. FEINTY : 촛불박스, 버터, 홍차, 담배, 가죽

6. 이탄(PEATY) : 물고기, 요오드, 해초, 해산물, 부싯돌, 석유, 고무, 타르, 베이컨, 올드 붕대,

                            약의, 나무이끼, 흙 냄새, 이탄, 연기

7. 오크 숙성 : 연기, 캐러맬, , 바닐라
    1)
견과류 : 코코넛, 아몬드, 헤이즐넛, 호두
    2)
나무 : 떡갈나무, 백단목, 백향목, 솔향
    3)
향신료 : 아니스, 생강, 후추, 육두구, 고수 씨앗, 정향, 계피
    4)
포도주(WINEY) : 마데이라, 셰리와인

 

세 번째 위스키의 맛

위스키 테이스팅의 세 번째 과정은 드디어 맛을 보는 것입니다.위스키는 도수가 매우 높기 때문에 한 번에 털어 넘기면 단순히 목을 타고 역류하는 알코올 풍미 때문에 고통스럽기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입안에 머금은 후 특유의 높은 알코올 도수가 지나가면 복합적인 질감과 풍미,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맛 역시 위에서 언급한 향과 같이 정리된 표현이 있고 대표적으로 12가지 정도로 분류합니다. 이러한 분류는 향과 유사하기도 하지만 다른 부분들도 존재하니 맛을 보면서 12가지 중 어떤 맛이 나는지 확인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맛의 12가지 표현 : 달콤한 맛(Sweet), 과일(Fruity), 꽃(Floral), 볼륨감, 감칠 맛(Body), 훈연 맛(Smoky), 담배 맛(Tabacco), 약품(Medicinal), 와인 탄닌, 셰리 (Winey) , 매운맛(Spicy), 고소한 맛(Malty), 견과류(땅콩, 호두, )(Nutty), 꿀(Honey)

 

마지막 여운

위스키 테이스팅의 마지막 과정은 여운을 느끼는 것입니다. 위스키를 맛본 후 위스키가 자연스럽게 목으로 넘어가면서 숨을 내쉼으로써 코와 입, 목에 남은 위스키의 향과 맛으로 가득하게 되고 이것을 피니시라고 합니다.

 

위스키 테이스팅 노트

테이스팅 노트란 위스키를 마시고 난 후의 감상평을 적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위스키의 기본정보인 위스키 이름, 숙성기간, 도수와 함께 위에서 말씀드린 위스키의 색, , , 여운에 대해 작성합니다. 테이스팅 노트는 본인이 느낀 것을 적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작성할 순 없지만 각 위스키 브랜드의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면 해당 위스키가 어떤 향과 맛, 여운이 나도록 만들었는지 테이스팅 노트를 작성해 놓은 것이 있기 때문에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테이스팅 노트는 글렌모렌지 공식 홈페이지에서 나와있는 것을 가져왔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

 

예시 : Glenmorangie Calvados Cask Finish 테이스팅 노트(공식 홈페이지 발췌)

위스키명 : 글렌모렌지 12/ 도수 : 46% / 숙성기간 : 12

위스키 정보 : Glenmorangie Calvados Cask Finish는 소규모 배치 싱글 몰트 배럴 셀렉트 시리즈의 다섯 번째 릴리스. 미국산 화이트 오크 버번통에서 10년 이상 숙성한 위스키를 선택해 프랑스 노르망디산 Calvados du Pays d'Auge를 20년 동안 보관하던 통으로 옮겨 추가 숙성

색상 : 브라이트 골드

: 구운 사과, , 바닐라, 아몬드 향과 약간의 왁스 향이 어우러진 최고의 향을 지닌 위스키입니다. 물을 마시면 수선화, 자스민, 헤더 허니와 같은 향기로운 꽃 향이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달콤한 페이스트리를 굽는 향이 발견됩니다.

: 입안의 느낌은 기름진 맛과 매콤함을 동시에 가지며, 풍부한 달콤한 맛이 폭발적으로 이어집니다. 구운 배, 토피 사과, 아몬드 마지팬, 초콜릿 프랄린이 약간의 레몬 발삼, 유칼립투스 및 약간의 숯과 함께 발견됩니다.

여운 : 오랫동안 남아 있고 서늘한 느낌

 

마무리

최근 들어 위스키바도 자주 방문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여러 종류의 위스키를 마시게 되면서 위스키를 즐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직 위스키를 많이 마셔보지 않았기 때문에 바텐더 분들이 말씀해 주시는 향이나, 공식 홈페이지에 적혀 있는 수많은 향들이 느껴지진 않습니다. 오히려 알코올 향만 진하게 느껴져 그게 맞는 건가 싶기도 합니다. 그러나 결국 위스키도 삶의 즐거움을 위해 마시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느꼈을 때 맛있고 좋은 위스키가 좋은 위스키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알아본 정보들은 위스키를 마시는 수많은 즐거움 중 아주 작은 즐거움 중에 하나로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